Abstract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 초등학교 교사에게 적합한 치아외상 교육내용 및 효과적인 전달 방법이 마련될 수 있도록 치아외상에 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았던 교육현황을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북지역 초등학교 교사 231명에게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응답자의 일반 사항, 치아외상 교육현황 및 태도, 사례를 통한 지식수준, 치아 보관 매체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치아외상 대처방법에 교육을 받은 교사는 15.2%에 불과하였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치아외상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97%가 필요하다고 대답하여 교사 스스로도 치아외상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었으며 교육 방식으로는 전문가에 의한 직접 교육을 선호하였다. 사례를 통한 평가에서는 문항 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응급상황시 적절히 대처하기에는 지식수준이 대체로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전라북도 초등교사들에게 적합한 교육방식과 교육내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연구 및 교사들에게 알맞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ttitude and knowledge level of a grou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anagement of traumatic dental injury. The sample consisted of 231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n-Buk province, and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surveyed the teachers'general information, attitude on the dental trauma education, knowledge of management of tooth fracture, luxation, avulsion and tooth storage media. Only 15.2% of the teachers had received dental first aid treatment education, but 97% were favorable to receiving education.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questions, insufficient knowledge and awareness of the management of traumatic dental injury were shown in the majority of teachers. It is recommended that education strategies and programs for improving the awareness of immediate management of traumatic dental injuries are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n-Buk provin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