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과보호가 인문계 고등학교 여학생의 시험불안의 두 국면인 시험준비불안과 시험도중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4개 인문계 고등학교의 여학생 1,2,3학년 568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척도(Anxiety Responses in Testing Scale: ARTS),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척도, 부모의 과보호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과보호는 여고생의 시험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하는 여고생들은 시험도중불안 보다 시험준비불안을 더 높게 지각했으며 특히, 시험준비불안의 하위 요인 중 인지를 가장 높게 지각했다. 셋째, 부모의 과보호를 높게 지각하는 여고생들은 시험준비불안 보다 시험도중불안을 높게 지각했으며 특히, 시험도중불안의 하위 요인 중 심체를 가장 높게 지각했다. 이러한 결과는 여고생들의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와 여고생들의 시험불안 시기 및 원인에 대한 탐색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즉,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가 성취압력의 형태가 아니라 여고생들이 자율적으로 학습계획과 목표를 수립할 수 있도록 민주적인 학습관여가 필요하며, 시험도중과 시험준비 상황에 따라 인지적 요소와 심체적 요소를 여고생들이 다르게 지각하므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고려한 시험불안 감소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개입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