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유시티에 따른 생활양식 및 도시공간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를 반영한 도시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유시티에서의 도시공간 변화 분석에 있어서는 도시민 설문조사를 통한 생활양식 변화를 예측하여 추론하는 행태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을 주요 활동공간으로 하는 도시기능에 있어 통행량 및 이용의 감소와 입지 선호도의 변화로 도심 집중화 약화와 도시의 외연적 확산이 예상되었다. 개별 용도에 있어서는 통행량과 이용의 감소에 따라 규모나 개수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기존 공간의 재편에 있어서는 특히 공공공간에 있어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시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의 변화가 전망되었다. 앞으로 유시티가 정착하면 도시의 공간구조와 시설별 수요가 도심과 비도심에 따라 변화가 예상되므로 이를 반영한 도시계획이 필요하다. 동시에 효율적이고 유연한 도시공간이 조성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of lifestyle and urban spaces with the advent of U-City and tries to propose a direction of urban policies reflecting them. For this, it investigates lifestyle changes to predict the phase of urban spaces in the future. In a survey on urban functionalities with downtown as the main space of activities, it was expected that traffic for the use of these functionalities would be reduced. Traffic reduction was predicted to restrain downtown from growing and weaken the concentration of downtown activity. For the reorganization of existing spaces, in particular, public spaces would be changed to multi-purpose spaces in which various urban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using ubiquitous technologies. With the advent of U-City and the various changes of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demand for land use and urban planning facilities would be altered by downtown and peripheries. A planning tool with a more concrete demand estimation of the future demand in individual areas of usage should be developed and it should be reflected in urban planning. Also, with the integration of functionalities so that more efficient land use will be possible, flexible designation of usage areas is necessary. Along with this, to prevent the decline of old downtown areas and provincial cities, the balanced installation of IT-related infrastructures will preced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