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어린이는 8-10세 경에 외상을 자주 받으며 구강 내에서는 상악 절치부가 호발하는 부위이다.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절치가 상실되면 어린이에게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상악 절치를 유지해야 하지만 조기 상실되는 경우가 있다. 상악절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심미적 문제나 치조골의 수직적 높이와 수평적 너비의 감소, 인접치의 경사, 악궁 장경 감소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치조골이 소실되면 보철적 수복 시에 기능성과 안정성, 심미적인 면에 영향을 준다. 이 증례는 외상으로 인하여 상악 중절치가 조기 상실된 9세 여아와 6세 남아에서 각각 5년 5개월, 3년 7개월 후의 치조골소실 정도를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와 진단 모형 상에서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anterior maxillary incisor is the most traumatized region in the mouth and trauma is frequent between the ages of 8-10. Traumatic loss of teeth, can lead to many complications in children. Thus, as possible to keep traumatic teeth, but if you need extractions There may be. Complications occur and early tooth loss is frequent. Complications of early loss of central incisors are esthetic compromise, loss of vertical and horizontal width, height, contour of alveolar bone, tilting of adjacent teeth, arch length loss. Alveolar bone loss may affect normal function and stability, and results in esthetic problem for future prosthesis restoration. The 9-year-old girl and 6-year-old boy got early loss of upper central incisor. The amount of alveolar bone resorption was measured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 and cast analysi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