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한국인의 전형적인 사망 원인인 암은 보건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통계청이 제시한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4)에 따르면, 7대 광역시 중 부산의 표준화 사망률 (standardized mortality rate; SMR)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는 부산지역암센터의 암등록자료를 이용하여 암발생률과 암사망률의 정도를 추정하고자 한다. 2003~2009년 자료를 대상으로 구/동과 같은 소지역 단위를 고려하였으며, 전체 암과 4대 주요암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공간 다수준 모형을 통해 모형 선택과 모수 추정을 수행하였다. 공간 효과에 대해서는 조건부 자기회귀 (conditional autoregressive; CAR)를 가정하였으며 WinBUGS를 이용하였다. 분석의 결과로 각 지역에서의 공간 효과를 어떻게 분석하고 해석하는지 제시하였다. Cancer is a typical cause of death in Korea that becomes a major issue in health care. According to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4)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MRs (standardized mortality rates) in Busan were counted as the highest among all cities. In this paper, we used data of Busan Regional Cancer Center to estimate the extent of the cancer incidence rate and cancer mortality rate. The data are considered in small areas of administrative units such as Gu/Dong from years 2003 to 2009. All cancer including four major cancers (stomach cancer, colorectal cancer, lung cancer, liver cancer) have been analyzed. We carried out model selec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using spatial multi-level model incorporating a spatial correlation. For the spatial effects, CAR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has been assum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