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재산업은 녹색성장과 더불어 한국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써 주목받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목재의 이용과 목재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이 2012년 제정되었다. 자연으로부터 얻어진 목재자원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선순환 구조를 지닌 목재제품이용의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동반하기 위해서는 목재제품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외 목재제품의 규격 품질표시제도를 살펴보고 국내 목재산업에의 적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제재목을 중심으로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와 일본의 규격 품질표시제도의 운영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목재제품에 대한 규격 품질표시제도는 시스템 진화를 통해 생산자의 자발적 참여로 운영되는 제3자 인증제도로 발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목재제품의 규격 품질표시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도입기에는 산림청 중심으로 일원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조기정착을 유도하고 성장기 및 성숙기를 통해 인식구조 개선과 생산자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인센티브 개발 등의 기반을 마련하여 제3자 인증제도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Wood-based products market is new growth engine industry of "Green growth policy".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a law, sustainable use of wood, for expanding wood and wood-based products market in 20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sustainable measure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valuable natural resources, offer expanding quality assurance services for wood-based products, and explore measures for expanding wood-based products labeling system. Through discussed domestic and overseas trends and literatures that concern wood-based products labeling system and investigated case studies that were presently operational. For expanding quality assurance services of wood-based products, Korea Forest Service operates a wood-based products labeling system in integrated management through variety awareness and specialist assessment for each product. This process will make enhanced wood-based products labeling system expanded gradually. To evolve into <TEX>$3^{rd}$</TEX> party quality assurance services on maturity age of labeling system, public communication will help improve awareness of producer and consumer. appropriate incentive program will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woodbased product industry. Producers consider environmental ethics in their business and consumer should exercise their right to know.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