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여러 식물의 추출물에 대한 항균효과와 항균작용은 이미 연구되어 있으나, 구강 내 병원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편이다. 이에 타액에 수 종의 식물 추출물, myrrh, rhatany, chamomomilla를 첨가하여 치주질환과 구취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인균들에 대한 억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생약 추출물은 Myrrh tincture (100 mg/ml), Ratanhia tincture (100 mg/ml), Chamomile tincture (100mg/ml)를 사용하였으며, 충치원인균인 S. mutans GS5, S. sobrinus 6715와 치주염원인균주인 P. gingivalis 2561 및 P. intermedia ATCC 25611, Candida albicans ATCC 18804, E. feacalis ATCC 4083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식물 추출물인 myrrh, rhatany, chamomomilla는 수렴작용과 살균작용, 항염증작용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서, P. gingivalis, S. mutans, C. albicans 등의 구강 내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나 항균작용이 구명되었다. 또한 가장강한 항균효과를 보인 rhatany를 처리한 이들 병원균을 투과전자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을 때, 심한 형태적 변형이 관찰되었다. 이는 식물 추출물에 의하여 구강 내 유해균을 억제시킴으로써 치주질환과 충치, 구취 및 구강염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향후 구강 환경 개선을 위한 임상적 근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ven though there exist a lot of study about antibacterial effects and reactions of extracted materials from plant, few study exist about oral pathogenic bacteria. Therefore we tried to recognize about the suppression effect to the periodontal pathogenic bacteria and halitosis, when add some kinds of plant extracted materials, myrrh, rhatany, chamomolilla to saliva. We used Crude drug : Myrrh tincture (100mg/ml), Ratanhia tincture (100mg/ml), Chamomile tincture(100mg/ml). We inspected about the cariogenic bateriae, S. mutans GS5 and S. sobrinus 6715, periodontal pathogenic bacteria, P. gingivalis 2561, P. intermedia ATCC 25611, Candida albicans ATCC 18804, and E. feacalis ATCC 4083, then the result follow. The plant extracted material, myrrh, rhatany, chamomomilla, which have convergence effect, bacteriocidal effect and anti-inflammation effect, show an antibacterial effect and reaction to the oral pathogenic bacteria. And with treating rhatany that have the most strong antibacterial effect, throug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e could see a severe morphologic change of bacteria. This means with the plant extracted material, we can suppress the oral harmful bacteria and prevent periodontal diseases, caries, halitosis and oral inflammations. And within the future studies for the improvement of oral hygiene, our result might be a clinical evidence.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