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광고가치 인식과 실제 응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탐색하고,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종속변수인 사용자 응답의도와 독립변수 간의 관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Ducoffe(1996)의 광고효과 모형을 기저모형으로 채택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주요 독립변수는 유희성, 조작편리성, 정보유용성, 경제성이며, 매개변수로 사용자 광고가치를 개념화 하였다. 특히, 구조모형 경로분석과 조절집단 차이검증 분석을 통해 최적의 연구모형을 도출하였고, 연령별 집단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연령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 지금까지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았던 광고가치라는 매개변수의 역할과 연령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그리고 실용적 가치가 있다. 345개 표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조작편리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의 유의성이 판명되었고, 연령별 집단 간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ables that affect users' perceived value of mobile advertising and actual response intention and to analyz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al significance, we built new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based on the Ducoffe's model(1996). And we found out fou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ntertainment, information usefulness, convenience, economical efficiency, and advertising impact's value as a mediating variable. Especially, we classified into four multi-age groups to investigate properly moderating effects through SEM(path analysis) and difference test. Therefore, it is academical and practical worth that we developed our model to appropriate on mobile advertising's unique property and that we verified our hypotheses and variables focused on age group, whereas previous research did not. For this, we surveyed 345 samples for conduc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empirical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all hypotheses except but convenienc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