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학생들이 ‘현재의 민주 시민’으로 성장함에 있어 중요 영향 요인이 될 수 있는 교사가 민주 시민성 교육에 관하여 어떠한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도덕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총 26명의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인식 현황이 담긴 과제물 보고서를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 교사들은 민주 시민성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할 좋은 시민의 모습에 관하여 민주 시민적 지식·이해, 민주 시민적 가치·태도·성향, 민주 시민적 기술ㆍ기능 측면의 3개 범주에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예비 초등 교사들은 현행 학교 교육에서의 민주 시민성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하여 교육 내용적 측면, 시간적 측면, 방법적 측면, 환경적 측면의 4개 범주에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도덕과에서 민주 시민성 교육에 관한 보다 풍부한 논의와 연구 결과에서 드러난 인식 상의 구성요소나 범주 측면을 고루 고려하는 실질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시사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