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이룬 성과만큼 담론에 대한 다양한 비판도 함께 제기되어왔다. 오늘날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이론적 구도와 한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제기된 비판적 견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각각의 관점에 따라 제기되어온 여러 비판적 견해를 분석할 수 있는 종합적인 해석의 틀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논리학과 기호학에서 사용되는 내포와 외연의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전개과정을 비판적 견해를 중심으로 통시적으로 재구성한 뒤, 이를 바탕으로 30여 편의 비판적 견해가 담긴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비판적 견해의 성격에 따라 내재적 비판과 외재적 비판으로 구분하고 이중 내재적 비판에 해당되는 견해들만을 본 연구의 주제로 다룬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 대한 내재적 비판은 이론, 실천, 그리고 이론과 실천과의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론적 내용에 대한 비판은 개념의 모호함과 개념의 모순을 지적하는 비판들로 나누어진다. 이중 개념의 모호함은 사전적 애매함과 내포적 모호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기존의 개념을 확장적으로 재해석하면서 발생한 개념의 모호함의 문제는 담론의 구조적인 한계를 드러낸다. 실천에 대한 비판의 경우 실천적 결과의 부재, 형태중심적 실천, 기존 조경과의 실천적 차별성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중 실천적 결과의 차별성 부재는 다수의 경계사례를 허용하는 외연적 모호함으로 인해 나타나는데, 경계사례들이 기존 조경의 외연이나 경계사례와 중복이 되면서 담론의 정체성이 모호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 대한 비판은 대부분 실천적 방법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이에 대한 비판들은 실천적 방법의 오류와 실천적 방법의 부재를 지적하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이 중 실천적 방법의 부재는 그동안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이 제시한 해답으로는 해결이 될 수 없는 이론의 구조적인 문제에 해당된다. 담론의 구조적인 문제들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약점이기도 하지만 이론적인 영역을 확장하고 잠재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던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향후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재적 비판뿐만 아니라 외재적 비판에 대한 고찰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As the influence of Landscape Urbanism has grown, various criticisms on the discourse also have increased. A study on critical opinions of Landscape Urbanism is necessary to fully comprehend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the discourse and its limitations.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Intension and Extension, which is used in the field of Logics and Semiotic, as an analytical tool to interpret various criticisms based on different views in a more objective and synthetic way. After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criticisms of Landscape Urbanism, 30 texts with important critiques on the theory were selected and analyzed. Criticisms can be classified as internal criticism and external criticism according to specific topics they are engaged with. The study only covers internal criticism as a research scope. The internal criticisms on Landscape Urbanism are re-categorized into topics of theory, practic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Vagueness of concepts and error in concepts are two types criticism related to the issue of theory. Lexical Ambiguity and Intensional Vagueness are the main causes of conceptual vagueness in Landscape Urbanism. Conceptual vagueness related with the problem of redefining an existing concept through expanding its meaning reveals a structural dilemma. There are three types of criticism included in the topic of practice: absence of practical results, form-oriented practice, and ambiguous identity in practical results. Ambiguous identity is caused by Extensional Vagueness allowing borderline cases. Because these borderline cases overlap with extensions of landscape architecture, it is hard to differentiate projects of Landscape Urbanism and those of conven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Most criticisms on the relat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raise the question on the practical method. Two types of criticism are engaged with the topic of the practical method: errors in practical methods and absence of practical methods. The absence of practical methods is a fundamental problem of Landscape Urbanism which is hard to solve by the proposed solutions. However, these structural problems are not only the weak point but also the factor that is able to prove the potentials expand the scope of Landscape Urbanism.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nternal criticisms on Landscape Urbanism should be examined in the following studies in order to predict the next direction of Landscape Urbanis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