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중년층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신념과 구강병 예방행동에 관한 융합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U시 일부 중년층 280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회귀분석의 결과로 볼 때 구강건강신념 중 구강병 예방행동의도, 구강병 예방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건강은 가치 있는 것이라고 느끼는 중요성이었다. 구강병 예방행동의도를 매개로 직간접적 영향을 알아본 결과, 중요성, 유익성 변인이 구강병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 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이미 구강병에 이환되어 심각성과 장애를 느끼고 있는 중장년층의 구강예방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강 건강이 전신질환만큼 중요하다는 중요성과 구강건강이 전신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을 계몽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 하겠다. In this study, the amalgamative relationship associated with oral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behavior against oral disease subject to middle aged people was analyzed. 20 persons in their middle age living in U city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s for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a factor with the strongest effect on intention to prevent oral disease and preventive behavior among oral health belief was importance. In the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parameters such as importance and benefi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tention to prevent oral disease and self-efficacy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Through these results,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middle aged people able to recognize importance and benefits of oral health by themselves in order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