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우분액비 및 녹비작물 도입에 의한 답리작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수확한 다음 우분액비시용이 벼 및 후작물인 답리작 사료작물의 생산성,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 및 양분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축산진흥연구소내 식양토의 논에서 2006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3개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우분액비 시용은 벼는 이앙 전에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으며 총체보리 및 호밀은 파종전과 봄 생육 개시 전에 2회 균등분할 시용하였는데, 화학비료 대비 우분액비의 시용수준은 N를 기준으로 하였다. 처리는 벼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 벼+ 총체보리 2모작 우분액비 시용구, 벼+호밀 2모작 우분액비 시용구, 벼+자운영 및 벼+베치로 구성하여 5처리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배치하였으며 벼는 농가관행에 준하여 재배되었다. 3개년 평균 벼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있어서 초장 및 수장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가 가장 길었으며 경수 및 낱알 수도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가 가장 많았다. 등숙율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 총체보리 우분액비 시용구 및 호밀 우분액비 시용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자운영 단작구 및 베치 단작구에 비해 높았다. 현미수량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가 가장 많았고 자운영 단작구 및 베치 단작구는 비슷한 수준으로 총체보리 우분액비 시용구 및 호밀 우분액비 시용구에 비해 낮았다. 벼와 2모작으로 재배한 총체보리의 수량이 호밀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경작형태별 우분액비시용에 따른 토양내 pH, <TEX>$P_2O_5$</TEX>, T-N, OM 농도 및 치환성 양이온의 농도는 시험전에 비해 시험종료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배출수 중 <TEX>$NO_3$</TEX>-N, <TEX>$NH_4$</TEX>-N 및 <TEX>$PO_4$</TEX> 농도는 총체보리 및 호밀 우분액비 시용구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에 비하여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이앙 후 시일이 경과할수록 낮아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and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rice productivity and nutrient movement in paddy land. Cropping systems used in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ive designs, such as mono-cropping rice applied with standard fertilizer (MRS), double-cropping whole crop barley following rice applied with cattle slurry (DWBRC), double-cropping whole crop rye following rice applied with cattle slurry (DWRRC), mono-cropping rice applied with following milk vetch (MRMV) and mono-cropping rice applied with following hairy vetch (MRHV). Th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clay loam at Backsanmyun, Kimje, Chunlabukdo province in Korea for three years (May 2006 to Apr. 2009). This study was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Culm and panicle length of rice were higher in MRS than other treatments. Ripened grain ratio was higher in MRS than other treatments. Yield of Grain showed high in MRS, DWBRC and DWRRC than MRMV and MRHV. The yield of dry matter (DM) of whole crop barley in DWBRC in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at of rye in DWRRC. The pH, and contents of T-N, <TEX>$P_2O_5$</TEX> and organic matter (OM) and exchangeable cation (Ca, Na, Mg and K) in soil sampl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he concentrations of <TEX>$NO_3$</TEX>-N, <TEX>$NH_4$</TEX>-N and <TEX>$PO_4$</TEX> in discharge water in DWBRC and DWRRC were higher than MRS.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More Fro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