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사면스케일에서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면의 단면선(Transect line)에 따른 토양수분 분포 및 변동에 대해 기본적인 해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단면선에 따라 설계된 여러 토양수분 측정지점으로부터 토양수분 자료에 대해 토양수분 특성인자를 고려하여 토양수분의 특성변동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면의 위치 및 지형 그리고 토성의 공간적 분포의 토양수분 특성에 대한 영향도 분석하였다. 연구 사면에서 깊은 토양 층에서 평균적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는 지표 층에서의 공간적 분포 경향과는 많이 달랐으며, 사면의 지형 및 위치 그리고 토성의 공간적 분포는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특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부흐름의 기여가 상당한 측정지점에서는 토양수분 변동의 안정화가 진행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 수문학적 경계(hydrologic Threshold)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양수분의 불균질한 공간적 경향은 우선적 흐름의 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보여진다. Soil moisture is critical for understanding the spatial-temporal variability of hydrologic processes. The distributions of soil moisture have been explored along transect line in hillslope hydrology. In this study, we measured several soil moistures along transect lines during ten-month period at a hillslope located the Cheong-mi catchment. The soil moisture properties were expressed by simple statistical method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recession slope) and analyzed in terms of soil depths and transects from the seasonal context. Supplementary studies were also performed about the effect of location, topography and soil texture to the soil moisture responses.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average soil moisture at deep soil layer were distinguished from those at near surface due to the possibility of expected factors such as subsurface lateral flow from upslope, preferential flow and existence of bedrock. The soil moistures in combined line affected from significant contribution of upper transect line were relatively higher(wetter), low variability compared to those in other transect lines and seemed to be under stabilization process. There are confirmed heterogeneity of soil moisture variation related with preferential flow and significant influence of soil texture for soil moisture properties in upslop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