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눈 화장품인 아이라이너에 노출시킨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파라미터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알아보고, 세척방법을 달리하여 세척하였을 때의 세척효과와 렌즈 파라미터의 회복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로 다른 재질로 제조된 3종류의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각각 1시간, 4시간 및 6시간 동안 아이라이너를 침착시킨 후 안경용 초음파 세척 및 손 세척을 시행하였으며, 세척 전후 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 직경 및 표면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는 아이라이너의 침착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렌즈의 표면을 관찰한 결과 아이라이너의 침착 양상은 렌즈재질의 물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narafilcon A 재질 렌즈에서 가장 침착이 큼을 알 수 있었다. 렌즈 직경은 hilafilcon B 및 etafilcon A 재질 렌즈는 감소하였으나, narafilcon A재질 렌즈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아이라이너의 침착은 안경용 초음파 세척기를 이용한 세척보다는 다목적 용액을 이용한 손 세척 시 세척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렌즈의 직경이나 가시광선 투과도, 렌즈표면 등 렌즈 파라미터가 원래 상태로 회복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소프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눈 화장 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옳으며, 반복적으로 눈 화장을 할 때에는 렌즈 파라미터의 변화를 고려한 착용시간의 단축이나 빠른 렌즈의 교체주기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oft contact lens parameters after eyeliner deposition and compare the cleaning efficiency and the recovery rate of lens parameters by different cleaning methods. Methods: The eyeliner was deposited on three types of soft contact lens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or 1 hour, 4 hours and 6 hours and those lenses were washed by the eyeglasses ultrasonic cleaning and by hands. The changes in visible light transmittance, diameter and surface of those lens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cleaning of the lens. Results: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soft contact lenses decreased along with the deposition time of eyeliner. The patterns of the eyeliner deposition on soft contact lens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ens material. Thus, the largest eyeliner deposition was found on narafilcon A lens. The diameters of hilafilcon B and etafilcon A lenses were decreased, however, the diameter of narafilcon A lens was increased.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eyeliner deposition was greater with the multipurpose solution by hands than with the eyeglasses ultrasonic cleaner. However, the recovery of lens parameters such as the lens diameter,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lens surface due to the eyeliner deposition to its original state was limited.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o minimize eye makeup when wearing soft contact lens. Furthermore, the reduced wearing time and shorter cycle of lens replacement may be needed by considering a change of lens parameter when the repeat eye makeup is applied.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