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디지털시대에 정보는 가치창출의 원천이다. 지식 및 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관련된 위험 및 위협 역시 증가하는 추세다. 정보는 한 번 유출되면 완전한 회수가 힘들고 2차 3차 유포는 쉽기 때문에 위험성이 높다. 특히 개인정보는 활용성이 높기 때문에 주요표적이 된다. 하지만 정보주체는 자신의 정보 활용에 대한 동의는 하지만 제공 후 처리는 모르는 등 온전하게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행사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올바르게 행사될 수 있도록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수준 측정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주체들의 현재 정보보호에 대한 지식수준과 이해의 정도, 실제 적용하는 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프라이버시 리터러시의 개념과 지수를 제시한다. 본 지수를 통하여 정보주체의 선택능력을 강화하고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에 대한 판단 및 결정능력을 증진하고자 한다. In the digital era, information is a source of value creation. However, the growing importanc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lso increases risks and threats. When information is leaked, full recovery is difficult, and additional spreading of risk is high because it is easy to accomplish. Especially personal information is the main target due to its availability. Although individuals normally have to consent to the use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they often do not know the use of their information. In such a difficult situation, one must exercise self-determination and privacy.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a privacy literacy level measurement model for the proper exercise of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It will be presented with the concept of privacy literacy index in order to determine the level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skills for individual. Through the index, we going to enhance the selection ability of information subject, and to promote the judgement and the determination capability for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