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지금까지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동이 갖는 특징으로 노동력의 고학력화와 일자리 양극화 패턴을 고찰하여 그러한 특징이 갖는 지역성을 지방의 5개 대도시 노동시장을 대상으로 분석하고, 임금 등 지역 내 소득결정에 미치는 함의를 검토함으로써 향후 삶의 질에 초점을 둔 지역단위 일자리 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국적인 차원에서 노동력의 고학력화와 일자리의 양극화가 두드러지며, 이러한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동 특성은 지방 광역대도시 노동시장에 그대로 관철되면서도 지역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역성이 제조업 등 지역경제의 근간이 되는 산업입지에 따라 결정되는 추세를 보이기 때문에, 향후 ‘일자리의 지리’라는 측면에서 지금과 다른 전향적인 지역노동시장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