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들어 모바일 단말기를 휴대하고 이동하는 사용자에게 경로안내 및 주변 위치정보 안내와 같은 개인화된 서비스가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보행자용 도로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전국단위 도로망 신규 구축과 갱신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은 활성화의 제약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어 래스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보행자용 도로망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한 자동 생성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생성된 도로망은 불필요한 결절점이 다수 포함되어 경로 안내 시 과도한 방향전환을 야기하고 데이터 용량 증가를 초래하는 등 유지관리 차원에서의 비효율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제거하기 위해 Douglas-Peucker 알고리듬 적용 과정에서 수치지도 도로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각 선형 객체별로 적합한 임계값을 부여함으로써 선형단순화의 효과는 극대화하고 실제 도로의 형태를 왜곡하지 않도록 최적의 임계값을 자동 선정하였다. 실험 대상 지역의 보행자용 도로망에 적용한 결과 결절점 감소율과 위치정확도 측면에서 제안된 방법이 자동 선형단순화에 적합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Recently, importance of pedestrian road network is getting emphasized as it is possible to provide mobile device users with both route guidance services and surrounding spatial information. However, it costs a tremendous amount of budget for generating and renovating pedestrian road network nationally, which hinder further advances of these services. Hence, algorithms extracting pedestrian road network automatically based on raster data are needed. On the other hand, road dataset generated from raster data usually has unnecessary vertices which lead to maintenance disutility such as excessive turns and increase in data memor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selecting a proper threshold automatically for separate road entity using not only Douglas-Peucker algorithm but also road attribute data of digital map in order to remove redundant vertices, which maximizes line simplification efficiency and minimizes distortion of shape of roads simultaneously. As a result of the test, proposed method was suitable for automatic line simplification in terms of reduction ratio of vertices and accuracy of posi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