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부등침하로 인한 각변위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실무에서는 현재 Bjerrum이 제안한 각변위기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도로 성토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계측시스템은 구조물의 각변위를 적합하게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충분하지 못한 계측 수, 부정확한 계측기 설치, 계측된 자료의 해석에 있어 각변위 기본개념의 잘못된 이해 등과 관련이 된다. 본 연구에서 도로 성토 현장에서 얻어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규명하였다. 도로 성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자동화된 상대변위 계측시스템이라는 개선된 계측시스템을 제안하였다. Angular distortion due to differential settlement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which influences on the stability and serviceability of a structure. The angular distortion criterion proposed by Bjerrum is generally used in practice. However, the measurement system used in field especially a road embankment site did not properly represent the angular distortion of a structure. The problem was related to the shortage and not proper installation of measurement gauges, and the incorrect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f angular distortion in interpretation of measurement data. These things were reveled by analyzing the measured data in the road embankment site. An improved measurement system has been suggested as a so-called "relative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between columns with automatic measurement.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