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패션 사진에 나타난 여성 동성애 이미지의 표현 유형을 고찰하고 이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패션 사진과 여성 동성애에 대한 문헌 연구와 2000년부터 2016년까지 패션 광고와 패션 매거진 화보 사진에 나타난 여성 동성애 이미지의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BR 연구 결과 여성 동성애 이미지 표현 유형은 첫째, 키스나 진한 스킨십, 성행위를 연상시키는 포즈, 노출에 의한 직설적 표현, 둘째, 친밀한 친구 사이를 연상시키는 자연스러운 분위기의 암시적 표현, 셋째, 남성과 여성의 기호복식 착용에 의한 복장도착의 표현, 넷째, 수동적 위치의 여성상을 탈피하여 관음의 적극적인 주체이자 대상으로 제시된 관음증적 표현, 다섯째, 여성 동성애 사이의 가피학적인 이미지 연출로 자극적 이미지를 제시한 사도 마조히즘적 표현으로 나타났다.BR 이상의 고찰 결과 여성 동성애 이미지의 내적 의미는 첫째, 다채로운 이미지로 표현된 여성 동성애 이미지는 다면화된 여성의 성적 욕망을 가시화한 것으로 주체적 이미지의 새로운 여성상을 제시하였다. 둘째, 직설적이거나 선정성을 배제하고 여성 동성애 코드만을 간접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레즈비언 시크라는 감성적 이미지의 패션 미학으로 승화되었다. 셋째, 여성 동성애라는 자극적이고 차별화된 코드를 활용한 패션마케팅 전략의 일환인 동시에 다양한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 표현으로 대중의 공감과 보편성을 확보함으로써 패션 소비 욕망을 극대화 시키는 수단으로 작용되었다.BR 이를 통해 패션 사진에 나타난 여성 동성애 이미지는 시대의 사회 문화적 정신을 공유하고, 여성은 물론 여성 동성애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앞으로 동성애를 비롯한 성정체성에 대한 열린 시각으로 다각도의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BR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