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들어 부동산시장의 변화 중 리테일 분야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아웃렛 쇼핑몰은 새로운 소매 환경변화를 보여주는 주요한 공간적 대상이다. 대도시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팩토리형 아웃렛과 스트리트형 아웃렛과는 달리, 프리미엄 아웃렛은 대도시 교외에 입지가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에 입지하고 있는 신세계 첼시 프리미엄 아웃렛을 방문한 쇼핑객들이 지구차원의 단지형쇼핑공간에 대한 지각된 공간요소와 이용특성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사례지 방문자 설문 중 292부의 유효설문을 바탕으로 7개의 주된 공간지각 요인을 도출하였고, 각 구성요소는 시각적, 입지적, 쇼핑지원, 인적, 분위기, 통행편의, 테넌트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요인은 단지형 아웃렛쇼핑몰의 물리적 구성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로 구성되며, 방문객들이 상품구매 욕구와 장소애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위요소로서의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용자 특성과 지각을 고려한 아웃렛 쇼핑몰의 기획과 설계에 본 연구결과는 장소마케팅전략으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In recent years, the retail industry has been undergoing major shifts. Outlet mall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new retail landscape. This paper seek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shopping experiences of visitors to a Premium outlet shopping mall in Shinsagae Chelsea Premium Outlet at Paju City, Gyeongi-do. This paper analyze the Element of the premium outlet across demographics. It explores seven critical factor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customers' perceptions of premium outlet. Findings are base on a mall intercept survey with 292 respondents across a range of demographics. The summary of 7 factor is classified as the visual, location, Shopping support, human traces, mood, transit expedience, and tenant. The main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is that factory outlet stores are perceived favourably and that they need to build more positive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l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