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의 혁신과 함께 최근 미디어 및 콘텐츠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연구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미래 연구를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동향 분석을 위해 2006년부터 2016년 현재까지 지난 10년간 국내 다양한 분야의 학술지에 출간된 디지털 사이니지 관련 학술논문 총 69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진행했다. 코딩규칙에 따라 출판 논문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출간년도, 학술지별 논문편수, 학술지 등급, 연구자의 수와 전공, 연구 분야, 연구 매체, 연구 방법, 연구 샘플, 적용된 통계분석방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미디어 콘텐츠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어 왔음을 발견했다. 사례연구와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뤄졌으며 공학, 사회과학, 예술학 등의 이종 학문들이 융합된 학제적 연구들도 찾아볼 수 있었다. 디지털 사이니지가 학문영역으로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론연구를 포함한 다양성 확대가 필요하며 복수의 학문 분야가 융합한 공동연구 및 산학협동연구가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give an overview regarding research trends in digital signage in Korea, which has recently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from the media market. For the past 10 years, from 2006 to 2016, 69 studies related to digital signage were found. Following the coding guidelin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n the published peer-reviewed journals in Korea including their published year, each journal's number of compilations, journal ratings, number of researchers and their major, field of research, research medium, research method, research samples, and the applied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the analyzed results, we found out that there are numerous studies on digital signage in various fields of study, including media content. A number of case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were made. However, theoretical research on digital signage was still found to be insufficient. Lastly, a wider variety of theories are suggested to be applied in future study along with conducting joint research with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partners and academics in order to further advance the research on digital signage.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