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진로자기관리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설계역량 간 구조적 관계를 탐구하고, 그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 456명을 대상으로 진로탐색 및 결정 학습경험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결과기대척도, 진로설계역량척도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청소년의 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설계역량 간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진로자기관리모형을 기반으로 한 경로분석모형의 모형적합도가 양호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진로자기관리모형이 청소년의 진로설계역량이 개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에 적절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청소년이 진로 관련 정보를 학습한 것은 인지적 해석 과정(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을 거쳐 진로설계역량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