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장의 직무연수 경험이 교육현장에 미치는 구체적인 효과를 파악하여 학교장을 대상으로 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평가하고 향후 직무연수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방법 제고를 위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념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교육행정지도자 과정에 참여한 연수생 23인의 인식을 통해 나타난 직무연수 효과의 속성을 탐색하였고, 동일한 직무연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중등교장 17명을 대상으로 진술문 유사성 및 중요도 평정을 실시하여 총 44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44개의 진술문의 유사성 및 중요도 평정은 동일 과정에 참여한 중등교장 17인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다차원 척도법을 활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 차원을 ‘학교-개인’ 및 ‘실천-성찰’의 2차원 구조로 구분하였다. 또한 위계적 군집 분석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이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공유’, ‘배움의 적용’, ‘특색있는 학교 운영 기획’, ‘확장된 사고’의 4개 군집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공유(M=4.65)’, ‘확장된 사고(M=4.56)’, ‘배움의 적용(M=4.48)’, ‘특색있는 학교 운영 기획(M=4.02)’ 순으로 높은 중요도를 가졌다고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현장에 주는 함의와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