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레저 산업의 확장으로 골프인구가 여성과 젊은 층으로 확대되었고 또한 골프웨어 를 일상적 캐주얼 의류로 겸용하는 활용성으로 관련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소비 자의 골프웨어에 대한 추구혜택에 따라 세분화된 집단의 골프웨어에서 추구하는 이미지와 패션혁신성, 패션 관여, 그리고 의복평가기준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여성 20대 이상으로 최근 2년간 골프웨어 구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고, SPSS 21.0의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골프웨어 추구혜택 차원을 기준으로 소극적 과시성 추구집단, 실용적 개성 추구집단, 적극적 과시성 추구집단, 개성적 매력성 추구집단, 실용성 추구집단의 다섯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골프웨어 추구이미지는 고급/패션감각적, 활동적, 화려한, 차분한 이미지의 네 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골프웨어 추구혜택 각 집단의 특성 차이를 살펴본 결 과, 적극적 과시성 추구집단은 고소득층의 비율이 높고 모든 추구이미지와 의복평가기준을 중요시하는 것으 로 나타나 골프웨어에서 디자인과 기능성 등 다각도적 측면에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극적 과시성 추구집단은 전체적으로 골프웨어 추구이미지와 의복평가기준의 각 요인에 대한 고려 정도가 낮았고 골프웨 어에 전체적으로 소극적인 성향이었다. 그리고 실용적 개성 추구집단은 전체 추구이미지에 대해 중간 수준이 었고 의복평가기준에서 성능적 요인을 중시하였다. 개성적 매력성 추구집단은 상대적으로 고소득층이 다수 분포되었고 고급/패션감각적 이미지와 화려한 이미지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골프웨어 평가에서 디자인 등 외 관적 특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실용성 추구집단은 단순한 스타일과 의복품질 중에서 성능에 대한 고려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