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인지 보존능력(CR)이란 보완적 뇌 연결망을 통해 인지적 수행력을 최적화 또는 극대화시키는 능력이다. CR은 노화에 따른 인지-언어 능력의 저하를 완화 또는 지연시키는 데 기여한다. CR 및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 간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본 국내 메타분석 연구는 거의 드문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게재된 국내외 문헌 중 총 32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CR의 유형은 교육수준과 인지자극 활동, 다중언어 사용, 직업 순으로 많았고, 인지-언어의 하위 영역 중에는 기억력, 전반적 인지능력, 언어능력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CR과 인지-언어 능력 간 상관성은 '중간' 정도였으며, 기억력, 언어능력 등이 여러 CR 유형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CR이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증거 기반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ognitive reserve(CR) is the ability to optimize or maximize performance through complementary brain networks. CR is relevant to normal aging in cognitive-linguistic abilities. There are few domestic systematic reviews or meta-analyses that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CR and cognitive-linguistic domains in healthy older people. This meta-analysis included 32 studies published since 2000. In result, education level topped the list, followed by the occupation, cognitively stimulating activities, and the multilingualism. Most studies were related to memory, global cognition, and language. CR had a modest positive association with cognitive-linguistic performance. Multiple domains including memory and language also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across most measures of CR. This study provides evidence-based information to support cognitive-linguistic ability in normal aging.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