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8학년(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지구와 별' 단원의 지구계 수업 모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수업 모듈 중 태양계 행성을 학습하는 행성 리모델링 활동을 개발하였다. 이 활동의 핵심은 행성에 생명체가 살 수 있도록 행성을 리모델링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쓰기와 그리기로 표현된 학생들의 생각의 시각화와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해석하였다 학생들의 인지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개로 법주화된 분석틀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내용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구계의 구성 요소별 그리고 과학과 기술의 이용별로 분석 요소를 세분화하여 적용하였다. 행성 리모델링 활동을 통해 분석한 학생들의 인지에는 지구 소양과 같은 지구계 수업의 영향이 나타났다. The ESE (Earth Systems Education) teaching module was developed to teach an "Earth and Star" unit for the 8th grade (aged 14) students. The planet remodeling activity was developed as a sub-ESE teaching module. The main point of this activity was that students were supposed to remodel planets for life to live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isualize students' thought and to interpret their understandings through their drawings and writings. A framework of analysis with four categories was designed and applied to analyze students' cognitive structure. In order to explore students' cognitive contents, the analyzing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wo domains: subsystems of the earth systems and use of science & technology. Results revealed via the planet remodeling activity that students' cognitive characteristics were impacted by ESE activities such as Earth literac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