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다양한 형태적 특징을 가진 배추 유전자원의 소포자 배양을 통한 고정계통의 육성 및 효율적인 소포자 배 발생조건을 확립시키기 위하여 50종의 배추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소포자 배양을 실시하여 30종에서 반수체배의 생산이 확인되었다. 소포자 배 발생률은 순무형인 IT135449에서 가장 높았고 일부 유지작물형(winter oil)에서는 배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 소포자 배양을 통한 다양한 배추 유전자원의 배 발생 효율의 증대를 위하여 유전자원 4종(IT135449, IT199710, IT212886, IT218043)을 대상으로 고온처리 기간에 따른 소포자 배 발생 효율을 확인한 결과, 3종에서는 <TEX>$32^{\circ}C$</TEX>에서 2일간 고온처리 할 경우 배 발생률이 가장 높았고 summer oil형 IT218043에서는 3일간 처리할 경우 가장 높은 배 발생률이 관찰되었다. 또한 소포자배의 식물체 재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 생장조절제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결구배추형인 IT199710에서는 NAA <TEX>$0.5mg{\cdot}L^{-1}$</TEX>과 BAP <TEX>$1mg{\cdot}L^{-1}$</TEX>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재분화율이 관찰되었으나 순무형인 IT135449와 청경채형 IT212886에서는 생장조절제 무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재분화율이 관찰되었다. 소포자 배 유래 재분화 식물체들을 대상으로 배수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종자를 형성한 모든 식물이 자연배가를 통한 이배체 식물임이 확인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다양한 배추 유전자원의 소포자 배양효율 증진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획득한 고정 계통은 이후 배추의 육종 및 유전자 기능 연구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tal of fifty accessions of Brassica rapa with variou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used for production of double haploid plants though microspore culture in Brassica rapa. Among them, only 30 accessions induced embryos from microspores. The highest efficiency of embryo induction of 1.194 per bud was obtained from IT135449 of turnip type, while 3 accessions of sarson (winter oil) type did not generate embryo. The effect of heat shock periods for embryogenesis was also investigated with 4 accessions (IT135449; Turnip type, IT199710; Chinese cabbage type, IT212886; Pak choi type, IT218043; Summer oil type). The high productions of embryos were observed in IT135449, IT199710 and IT212886 when microspores were pre-cultured to <TEX>$32^{\circ}C$</TEX> for 2 days. In IT218043, high embryogenesis was observed at the 3 days of heat shock treatment. The optimal condition of shoot regeneration for IT199710 was observ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NAA <TEX>$0.5mg{\cdot}L^{-1}$</TEX> and BAP <TEX>$1mg{\cdot}L^{-1}$</TEX>. In contrast, the IT135449 and IT212886 were observed high regeneration frequency in MS medium without plant growth regulators. All the plantlets regenerated from microspore-derived embryos have been successfully transplanted to soil, and bud self-pollinated seeds were produced from doubled haploid plants. This indicated that double-haploid genotype was likely generated naturally during embryogenesis proces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