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경기만 염하수로 입구인 영종대교 남단에서 평수기와 홍수기에 13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층별 유속관측을 수행하였다. 홍수기와 평수기에 한강과 임진강으로의 평균 담수유입량은 각각 약 <TEX>$8000m^3/s$</TEX>, <TEX>$200m^3/s$</TEX>로 40배의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변화가 잔차류의 공간 분포와 총 유출입량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조석주기 동안의 평균이 필요하며, 반복 관측된 자료의 연직위치와 수평격자위치를 일치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공간적 sigma 격자 체계로 변환시켰다. 변형된 sigma 좌표체계는 z-level상의 원시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5%이내의 오차로 자료분석에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결과 평수기 단면 잔차류는 수로의 수심에 따라 패턴이 다른 수평적 2층 흐름 구조를 보였으며, 홍수기의 경우 표층에서는 낙조하고, 저층에서는 창조하는 수직적 2층 흐름구조를 보였다. 이는 담수의 유입량에 따라 단면에서 공간적 잔차류 흐름구조가 크게 변동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총 수송량은 평수기와 홍수기에 각각 <TEX>$359m^3/s$</TEX>, <TEX>$261m^3/s$</TEX> 로 약 <TEX>$100m^3/s$</TEX>의 차이를 보였다. 홍수기 많은 양의 담수 유입이 발생하였지만, 총 수송량과 적은 상관도를 보인 것은 염하수로 남단 해역에서 Stokes drift의 크기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으로 보여지며, 총량은 강화도와 영종도 사이의 조간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To calculate the total mass flux that change in dry and flood season in the Yeomha Channel of Gyeonggi Bay, the 13 hour bottom tracking observation was performed from the southern extremity. The value of the total mass flux(Lagrange flux) was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Eulerian flux value and stroke drift value and the tidal residual flow was harmonically analyzed through the least-squares method. Moreover, the average during the tidal cycle is essential to calculate the mass flux and the tidal residual flow and there is the need to equate the grid of repeatedly observed data. Nevertheless, due to the great differences in the studied region, the number of vertical grid tends to change according to time and since the horizontal grid differs according to the transport speed of the ship as a characteristic of the bottom tracking observation, differences occu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grid for each hour. Hence, the present study ha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normalized(sigma coordinate) to equate the grid per each hour. When compared to the z-level coordinate system, the Sigma coordinate system was evaluated to have no irrationalities in data analysis with 5% of err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idal residual flow displayed the flow pattern of sagging in the both ends in the main waterway direction of dry season. During flood seas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idal residual flow was vertical 2-layer flow. As a result of the total mass flux, the ebb properties of 359 cm/s and 261 cm/s were observed during dry and flood season, respectively. The total mass flux was moving the intertidal region between Youngjong-do and Ganghwa-do.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