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은 다양한 버그 추적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단일 저장소 모델을 제공하는 UniBAS(Unified Bug Analysis System)를 제안한다. UniBAS는 MSR(Mining Software Repositories) 연구 과정에서의 저장소 추출, 데이터 가공이나 모델 생성과 같은 공통적인 반복 작업을 줄이고, 관련 연구자가 상위 수준의 연구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연구 수행에 발생하는 복잡도와 비용을 줄여준다. 또한, UniBAS는 데이터 추출 뿐 아니라 질의 기반 분석에 필요한 테이블, 뷰 및 저장 프로시저 등을 자동 생성하며, 수집한 데이터 관리와 외부 도구와의 연동을 위해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사례 연구로 UniBAS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Mozilla사이트의 Firefox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실제 중복 버그 리포트를 탐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동 추출된 자료를 대상으로 질의와 분석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으며, 다양한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 적용을 통해 유효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UniBAS(Unified Bug Analysis System) to provide a unified repository model by integrating the extracted data from the heterogeneous bug tracking systems. The UniBAS reduces the cost and complexity of the MSR(Mining Software Repositories) research process and enables the researchers to focus on their logics rather than the tedious and repeated works such as extracting repositories, processing data and building analysis models. Additionally, the system not only extracts the data but also automatically generates database tables, views and stored procedures which are required for the researchers to perform query-based analysis easily. It can also generate various types of exported files for utilizing external analysis tools or managing research data. A case study of detecting duplicate bug reports from the Firfox project of the Mozilla site has been performed based on the UniBAS in order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ith various algorithm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flexible querying to the automatically extracted data also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