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오늘날, SNS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패션 블로그는 새로운 미디어로써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패션블로그는 종이잡지보다 전파 속도가 빠르고 정보를 얻는 방법이 더 간편할 뿐만 아니라 영향력도 더 크다. 따라서 블로그에서 패션논평은 패션 사진과 더불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BR 패션논평의 주된 평가자는 독자들이다. 독자들의 반응과 기대에 따른 예술작품의 창작을 주창하는 수용미학은 1960년대 독일의 야우스가 제창하였다. 독자중심의 수용미학은 패션 블로그 논평과의 관계를 살펴볼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야우스의 수용미학을 중국 패션 블로그 ‘gogoboi’에 나타난 논평에 적용시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증적 자료 분석은 2015년 1월 1일부터 2017년 3월 1일까지 매월 1일에 올라온 총 877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첫째, 야우스의 5가지 수용미학 유형-연합적, 찬탄적, 동정적, 카타르시스적, 아이러니적-을 패션논평에 적용시켰다. ‘연합적 유형’은 독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논평이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시상식 연예인에 대한 이미지 투표, 연예인의 이미지에 대해 의견 교환, 독자에게 선물주기 등으로 나타났다. ‘찬탄적 유형’은 의견을 제시하는 논평이다. 즉, 신규 트렌드, 아이템, 코디네이션, 컬렉션에 대한 칭찬을 통해 독자들에게 패션을 소개하거나 유행 추세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정적 유형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