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외국어 학습에서 강조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학습법을 탐구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한국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 자료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는 한국어를 재미있고 자연스럽게 익히기 좋은 매체이다. 그러나 외국어 수업에서는 영상을 보며 목표 언어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뛰어넘어 학생들이 학습한 언어를 상황에 맞게 구사하는 언어 주도 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미국 대학에서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상 보기와 연 극 만들기 활동을 연계하는 프로젝트 수업을 운영하여 학습자의 요구도 충족하고 학습자가 주도적인 학 습을 할 수 있는 한국어 교수 방법을 만들어 보고자 하였다. 프로젝트의 큰 갈래는 영상 시청 후 한국어 로 간단한 보고서 작성하기, 연극 창작, 공연하기였다.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매주 한국 영화나 드라 마를 보고 캐릭터를 분석하여 간단한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학기 말 프로젝트로는 한 학기 동안 모은 캐 릭터를 각 조에서 고른 후 그 캐릭터들이 만났을 때 일어날 만한 상황을 연극 대본으로 공동 창작하게 하였다. 이때, 학생들의 역할 비중이나 대사량을 비슷하게 만들 장치로 앙상블 캐스트(ensemble cast)를 이용하였다. 프로젝트 결과,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캐릭터를 차용한 방법은 학생들이 만든 연극의 기 본 줄거리를 더 풍성하게 만들었고, 앙상블 캐스트의 활용은 모든 참여자들이 연극에서 한국어를 고르 게 구사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영상의 입체적 캐릭 터를 활용한 연극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 수업이 효과적인 교수 방법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