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양안식 3D 비디오의 효율적인 압축을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었으며, 그 중 좌우영상으로 상이한 해상도의 영상을 사용하는 방식은 인간의 시각 시스템이 혼합 해상도의 양안식 영상을 높은 쪽 영상의 품질에 가깝게 인지하는 특성을 이용한 대표적인 비트레이트 절감 방식이다. 그러나 혼합 해상도 양안식 영상에서 좌우안 영상 해상도 차이가 일정 범위 이상일 경우 3D 영상의 품질 저하가 발생한다. 이에 다양한 연구에서 혼합 해상도 양안식 영상의 좌우해상도 차이에 따른 화질 저하 정도를 측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시청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 좌우 영상의 크기만을 고려하여 실험하였으며 이에 각 연구별로 상이한 실험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시각 시스템을 고려하여 최적 시청거리를 계산하고, 이에 기반하여 좌우영상 비율 별 주관적 화질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혼합 해상도 영상 기반의 고정 및 이동 융합형 3DTV 기술이 고품질 3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인다.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efficient compression of stereoscopic 3D videos. Mixed-resolution based approach is one representative bit-rate saving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visual system that the mixed-resolution stereoscopic videos are perceived close to the higher resolution. Howeve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image resolutions is bigger than a certain threshold level, it causes the perceived quality degradation of the 3D images. Subsequently, several researches tri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 in resolution and the level of the perceived quality degradation, but they conducted the experiments just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resolution without considering the viewing distances, so thereby different results were retrieved from test to test. In this work, we calculated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based on the human visual system, and conducted the subjective tests with the calculated viewing distance. With the results, we demonstrate that the fixed and mobile hybrid 3DTV, which is based on mixed-resolution stereoscopic images, can provide the high quality 3D servic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