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50개 패션 기업과 다국적 글로벌 럭셔리 50개 기업의 웹사이트 조사를 통하여 패션 기업의사회적 책임활동 내역을 ISO 26000의 핵심 주제에 따라 분류, 분석하고 이를 비교하여 국내 패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위한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문헌조사는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개념과 세계적인 경향, 그리고 사회적 책임활동의 분류 척도에 대한 연구와 함께 의류학 분야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관련 연구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는 선정된 100개 기업에서 수집된 604건의 사례를 ISO 26000의 조직 거버넌스, 인권, 노동 관행, 환경, 공정운영 관행, 소비자 이슈, 지역사회의 참여 및 발전의 7개 주제를 척도로하여 분류,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기업의 경우는 사회참여 및 발전(70.9%)이 가장높은 비율로 치중되어 있었으며 뒤를 이어 환경(14.1%)과 공정운영 관행(9.5%), 조직 거버넌스(5.0%), 인권(0.5%)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동 관행과 소비자 이슈와 관련된 활동은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글로벌 럭셔리 패션 기업은 국내 기업과 마찬가지로 사회참여 및 발전(39.0%)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나 뒤를 이은 환경(34.8%)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노동 관행(11.6%), 공정운영관행(6.4%), 조직 거버넌스(4.0%), 인권(2.5%), 소비자 이슈(1.7%)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국내 패션기업을 위하여 다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국내 기업은 CSR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접근과 함께 자사의활동을 소비자와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공표할 필요에 대해 인식하여야 한다. 둘째,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한 국제적 경향을 인지하고 기업 경영과 관련한 인권, 환경, 지배 구조 등 기업내외부적인 운영에 있어 윤리를 바탕으로 하는 근본적인 책임 이행을 촉구한다. 셋째, 단편적인 자선활동에서 벗어나 장기적 태도로 사회적 책임을 이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책임, 지속가능성을 비즈니스안으로 통합하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