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이 있는 초기 부적응 도식을 탐색하고 아동기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를 초기 부적응 도식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회 이상의 자해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학대 비자살적 자해 초기 부적응 도식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동기 학대는 실패도식을 제외한 14개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높은 빈도의 비자살적 자해 집단은 낮은 빈도의 비자살적 자해 집단에 비해 위험 질병에 대한 취약성 사회적 고립유기 결함 수치심 등 10개 도식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셋째 아동기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를 결함 수치심 위험 질병에 대한 취약성 도식이 부분 매개하였다 이는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상담에서 그들의 행위 측면보다는 심리적 기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