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서울시에서 유통 중인 다랑어류, 새치류 및 심해성 어류의 총 수은 및 메틸수은 축적량의 현황 파악과 사후 관리의 자료로써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소비 패턴에 따라서 시장의 진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다양한 어종의 채취보다는 비교적으로 많이 판매, 소비되는 품목 즉 상어류, 다랑어류, 새치류, 비막치어 136건을 대상으로 총수은 및 메틸수은의 축적량을 조사하였다. 총수은 분석에 사용된 DMA-80에 대하여 CRM 인증값의 98.8% 회수, 검량선 결정계수(<TEX>$R^2$</TEX>) 0.9998 이상, 0.003, <TEX>$0.01{\mu}g/kg$</TEX>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를 파악함으로써 기기적 정확성 및 재현성을 확보하였다. GC-<TEX>${\mu}ECD$</TEX>를 사용한 메틸수은 분석법은 79.7%-103.1%의 양호한 회수율과 0.9997 이상의 높은 검량선 결정계수(<TEX>$R^2$</TEX>)를 확보하였으며, 검출한계는 0.006 mg/kg, 정량한계는 0.018 mg/kg의 결과를 보였다. 네 종류의 어종은 통계적 분석에 의해 총수은 및 메틸수은 축적량에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각 어종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평균량(mg/kg)은 상어류 <TEX>$1.20{\pm}0.70$</TEX>, <TEX>$0.95{\pm}0.51$</TEX>, 새치류 <TEX>$0.99{\pm}0.72$</TEX>, <TEX>$0.51{\pm}0.40$</TEX>, 다랑어류 <TEX>$0.32{\pm}0.31$</TEX>, <TEX>$0.20{\pm}0.20$</TEX>, 비막치어(메로) <TEX>$0.43{\pm}0.48$</TEX>, <TEX>$0.20{\pm}0.17$</TEX>로 분석되었으며, 과거에 비해 상어류와 새치류에서의 축적량이 많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된 메틸수은 수치들과 JECFA의 PTWI값과의 비교 검토값은 상어류 0.00-0.24%, 새치류 0.075-1.813%, 다랑어류 0.025-1.338%로서, 일일섭취량이 설정되어있지 않은 비막치어를 뺀 나머지 세 종류 어종의 합계는 0.1-5.551%였다. 이 결과만을 평가해 본다면, 다랑어류, 새치류, 심해성 어류의 섭취로 인한 메틸수은에 대한 노출량은 아직 안전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축적량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감안하고, 또한 여러 경로로 메틸수은에 노출되는 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면 좀 더 정확한 노출과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In this study, we monitored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concentrations in tuna, billfish, and deep-sea fish distributed in Seoul city. With the acquired data, we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and an exposure assessment for intake. The mean concentrations (mg/kg)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were <TEX>$0.32{\pm}0.31/0.20{\pm}0.20$</TEX> for tuna, <TEX>$0.43{\pm}0.48/0.20{\pm}0.17$</TEX> for patagonian toothfish, <TEX>$0.99{\pm}0.72/0.51{\pm}0.40$</TEX> for billfish and <TEX>$1.20{\pm}0.70/0.95{\pm}0.51$</TEX> for sharks, respectively. We found that sharks, billfish, patagonian toothfish, and tuna were more contaminated with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sequence, and that 66% of the total mercury concentration consisted of methylmercury, on average. Although the estimated weekly intakes of methylmercury from commercial deep-sea fish were lower than the weekly intakes recommend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we identified that the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concentrations in tuna, billfish, and deep-sea fish continued to increase with the passage of time. Therefore, we confirmed the necessity of continuous monitoring and comprehensive analysis for general safety.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