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토복식은 조선시대 복식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그 중에서도 염직물들은 복식의 문화사적 연구뿐만 아니라 보존과학적 연구 및 유물복원을 위해 꼭 필요한 자료들이다. 그러나 매장환경에서 오랜 기간 동안 영향을 받으면서 색은 변퇴색되었으며 발굴 후에도 점차 퇴색되어가므로 본래의 색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색, 황색, 자색, 청색의 천연염색포 표준시료를 제작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이하 HPLC-PDA)에 의해 분석하고, 같은 방법으로 출토염직물에 남아있는 색소를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출토직물의 염료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당시의 색을 추정하기 위해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하 SEM)에 연결된 에너지 분산형 원소분석장치(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이하 EDX)를 이용하여 매염제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16~17세기 출토직물편으로 대전시 송천동 출토 은진송씨 송문창 출토직물 2점과 대전시 목달동 출토 여산송씨 송희종 출토직물 1점 등 3점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alizarin, purpurin, indigo, ellagic acid 등의 색소가 검출되어 꼭두서니-쪽의 중복염색, 꼭두서니 염색, 석류-쪽의 중복염색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매염제로는 모든 유물에서 Al이 검출되었다. Excavated textiles provide very important research data on the costum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dyed textiles are indispensable for textile conservation research and for restoration of remains as well as for general costume culture research. Unfortunately, a prolonged burial environment causes the colors to change and gradually fade after excavation.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the original color. In this study, natural dyed samples of red, yellow, purple and blue were prepared and analyzed using HPLC-PDA. Dyes of colorants extracted from excavated textile remains were analyzed by HPLC. In addition, mordants were analyzed using (SEM-EDX) in order to estimate the original color. The 16~17th Century's three samples were analyzed, sample 1, and 2 from Eunjin Song's Song Mun-Chang excavated at the Songchon-dong in Daejeon, and sample 3 from Yeosan Song's Song, Hee-Jong excavated at the Mokdal-dong in Daejeon. From the HPLC results, alizarin, purpurin, and indigo were detected on sample 1, alizarin and purpurin on sample 2, ellagic acid and indigo on sample 3. Therefore they were dyed with madder and indigo (sample 1), madder (sample2), pomagranted and indigo (sample 3). Al mordant was identified on three samples.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