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네트워크 콘텐츠 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행정학회, 정책학회, 정보통신정책 학회 등 세 개의 학회에서 발간되는 학술지를 중심으로 정보통신기술 정책과 관련된 연구의 흐름 및 주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정보통신정책의 현황을 발견하였다. 첫째, 정보통신정책이 우리나라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이 분야에서 학문적 연구의 기여가 미흡하다는 점이고 앞으로 정보통신정책의 발전을 위하여 보다 활발한 연구조건 조성이 필요하고 본다. 둘째, 이전 연구의 주된 주제는 전자정부, 정보통신, 그리고 정보기술이었고, 이에 대하여 다양한 변수와 방법론을 이용한 분석이었다면, 현재의 연구주제는 주로 특정 정보통신정책, 시장, 정책수렴과 관련한 주된 요인과 효과를 알아내는데 그 초점이 있다. 그리고 세계적 흐름을 포섭하는데 일정한 시차가 존재한다. 세번째, 각 학문공동체 별로 다른 존재목적, 전문성의 차이, 학술지의 편집방향 등으로 인하여 연구주제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일적 관점에서 정보통신정책의 발전과 집행을 위하여 상호 간에 융합하는 공동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This study conducts network content analysis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main research trends and topics in the three academic communities – public administration, policy studies, and telecommunication policies – with regar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We found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contributions to ICT policy and system are not sufficient in numbers compared to the significance of ICT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hus it is necessary to set more active conditions for future policy. Second, the maininterests of previous studies were with general concepts such as ‘electronic governm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IT’ which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variables and methodologies. Now, the research interests include the role of identifying the influential factors or effectiveness of specific ‘policies,’‘markets,’ or ‘convergence.’ However, there is a time lag in embracing the latest global trends. Third, we found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ICT-related research topics because of differences in the mandate of each academic community, diversity in the expertise of members, and editorial direction of journals. Significant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joint-research that is mutually converging into a holistic approach to ICT polic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Read full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