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lthough companies implementing pay-for-performance system are increasing, the empirical study of effectiveness is scarce. Focusing on creativ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roductivity,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pay-for-performance on creativity. Based on threat-rigidity theory(Staw et al., 1981),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pay-for-performance would lead to heightened anxiety and attentional narrowing. Also,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and attentional bread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y-for-performance and creativity.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creative performance of the pay-for-performance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the level of anxiety in the pay-for-performance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n'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attentional breadth. Third, although anxiety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creative performance, the correlation between attentional breadth and creative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Forth, anxie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y-for-performance and creative performance; yet attentional breadth had no mediation effects. Last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Highlights

  • 성과급 제도의 꾸준한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성에 대한 실증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 창의성에 주목하여, 성과급이 개인의 창의적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Staw, Sandelands, 및 Dutton 의 (1981) 위협-경직 이론에 근거하여 경쟁이라는 특성을 지닌 성과급은 개인으로 하 여금 불안과 주의범위의 협소를 유발할 것이라고 가정하였고, 성과급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 향에 있어서 불안과 주의범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과급 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에 비해서 성과급 집단의 창의적 수행이 더 낮았다. 둘째, 성과급 집단의 불안 수준이 통제집단에 비해 서 유의미하게 더 높았으나 주의범위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불안은 창 의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주의범위는 창의적 수행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넷째, 불 안은 성과급과 창의적 수행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으나, 주의범위는 매개효과를 나타내 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 창의성에 주목하여, 성과급이 개인의 창의적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첫째, 통제집단에 비해서 성과급 집단의 창의적 수행이 더 낮았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성과급 제도의 꾸준한 증가 추세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성에 대한 실증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 창의성에 주목하여, 성과급이 개인의 창의적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Staw, Sandelands, 및 Dutton 의 (1981) 위협-경직 이론에 근거하여 경쟁이라는 특성을 지닌 성과급은 개인으로 하 여금 불안과 주의범위의 협소를 유발할 것이라고 가정하였고, 성과급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 향에 있어서 불안과 주의범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과급 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에 비해서 성과급 집단의 창의적 수행이 더 낮았다. 둘째, 성과급 집단의 불안 수준이 통제집단에 비해 서 유의미하게 더 높았으나 주의범위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불안은 창 의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주의범위는 창의적 수행과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넷째, 불 안은 성과급과 창의적 수행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으나, 주의범위는 매개효과를 나타내 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생산성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 창의성에 주목하여, 성과급이 개인의 창의적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통제집단에 비해서 성과급 집단의 창의적 수행이 더 낮았다. 김우영.장재윤 / 성과급이 창의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불안과 주의범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