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글은 적석총의 구조 분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분구와 매장주체부구조라는 입장에서 선행의 적석총 형식분류안을 개괄하고, 형식분류에서의 가장 큰 문제로 새로이 조사된 구조를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이에 새로운 부각된 계장식분구와 석광과 광실 구조를 살펴보았다. 계장식 분구는 분구의 축조과정을 설명한 형식명으로 분구는 무기단식이므로 무기단식 내의 아형식으로 볼 필요가 있으며, 광실은 목실과 목개석실로 구분하여 살펴보아야 한다고 보았다. 아울러 기존의 형식분류안이 단일분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을 지적하고 집단묘의 형태로 존재하는 다수의 적석총을 단수분구와 연접된 복수분구로 대분하였다. 그리고 단수분구는 분구형태와 매장주체부의 조합에 따라서, 그리고 연접된 복수분구의 연접된 무덤의 수와 각각의 형식에 따라 세분하여 보았다. 그 결과 무기단식 내에서 계장식을 별도로 분류하거나, 광실의 실질적인 장구를 복원하는 것, 그리고 단일분 뿐 아니라 집단묘를 함께 고려한 형식 설정이 이루어진다면 고분을 통한 고구려 복원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다만, 후대의 자연적, 인위적 변형이 불가피한 적석총이 갖는 한계로 글에서 제시한 여러 문제들은 향후 연구과제로 삼고자 한다.The aims of this paper are three, the research history overview of typology of stone mounded tombs, and elucidating the mound type so called fence and coffin style chamber, classifying the collective tombs type. Therefore, the stone fence mound type is a sub type not mound shape but building method of ston mound. And the coffin style chamber is classified with two sub types - wooden chamber and stone chamber covered with wood on the basis of chamber material and burying type. Last collective tombs are classified with several types on the point of the number of visible mound. In spite of some limits for dissolved cause of stone mounded tpmbs, it means that the examining how the building materials, construction methods, mound structures, burial chambers is major role of reconstructing the Koguryo History.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