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PCR-RFLP 기법으로 칡소의 모색 발현에 관련된 MC1R 유전자형을 분석하고, 칡소 유전자형에 따른 모색 발현 양상을 가계와 교배조합을 통하여 연구함으로써 칡소에서 호반모의 발현 비율을 증가시키는 번식 체계를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전라북도축산위생연구소에서 사육중인 칡소 중에서 부계 또는 모계를 알고 있는 가계가 형성된 칡소로부터 혈액 또는 정자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MC1R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증폭된 PCR product를 Msp I 제한효소로 절단하고 전기영동한 후 칡소 개체별 유전자형을 확인하였고, 이 외에도 칡소의 모색 양상과 비경의 흑색침착 정도에 따른 모색 발현 비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칡소의 모색 발현 양상은 전신호반모가 61.67%로 가장 높았고 흑모는 5.00%로 가장 낮았으며 황모는 16.67%, 부분(약반신)과 부분(일부) 호반모는 각각 8.33%로 같은 분포 양상을 보였다. 칡소의 비경 침착 양상은 3단계와 4단계가 비슷한 비율로 높았고, 다음이 2단계, 5단계, 1단계의 순이었다. 칡소의 비경에 따른 모색 발현 양상은 비경 침착이 3단계와 4단계인 칡소에서는 전신 호반모의 비율이 다른 모색 보다 높았고, 비경 침착이 1단계인 칡소는 그 중에서 황모가 80.00% (4/5)로 나타났으며, 비경 침착이 5단계인 칡소에서는 다른 단계에서 발현되지 않았던 흑모의 비율이 37.50%를 나타냈다. 칡소에는 <TEX>$E^+E^+$</TEX>, <TEX>$E^+e$</TEX>, ee 유전자형과 한우에는 ee, <TEX>$E^+e$</TEX> 유전자형이 존재하였다. 칡소 MC1R 유전자형은 <TEX>$E^+e$</TEX>이 65.00%로 가장 높았고 <TEX>$E^+E^+$</TEX>은 33.33%이었고 ee도 1두로 1.67%이었다. 유전자형에 따른 모색 발현 양상을 보면, <TEX>$E^+E^+$</TEX>과 <TEX>$E^+e$</TEX>에서는 전신 호반모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ee는 황모를 나타냈다. 칡소의 가계 분석을 통한 모색 발현 양상을 조사한 결과, 부(Sire)의 유전자형이 <TEX>$E^+e$</TEX> 이고 모(Dam)의 유전자형이 <TEX>$E^+E^+$</TEX> 이면서 부모의 모색이 모두 전신호반모일 경우 자손의 모색은 100.00% 전신호반모였고, 부(Sire)의 유전자형이 <TEX>$E^+E^+$</TEX> 이고 모(Dam)의 유전자형이 <TEX>$E^+e$</TEX>이면서 부모의 모색이 모두 전신호반모일 경우도 자손에서 모색의 44.44%가 호반모의 비율을 보여 두 가지의 교배조합의 경우가 자손의 전신호반모 비율을 높이는 최적의 교배 조합으로 보여진다. 이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칡소로 판정받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호반모의 발현비율을 증가시키는 번식 체계를 칡소 사육농가에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MC1R genotype, coat color, and muzzle phenotype variationsin the Korean native brindle cattle (KNBC) maintaining family lines and to establish the mating system for increased brindle coat color appearance. KNBC with genotype and phenotype record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animals. The relationship between melanocortin 1 receptor (MC1R) genotypes, verified by PCR-RFLP, and brindle coat color appearance was determined. Fragments of the MC1R gene amplified by PCR were digested with MspI and RFLP was determined. KNBC had <TEX>$E^+E^+$</TEX>, <TEX>$E^+e$</TEX>, and ee genotypes. The <TEX>$E^+e$</TEX> genotype was most common with 65%, compared to <TEX>$E^+E^+$</TEX> (33.33%), or ee (1.67%). When the sire had <TEX>$E^+e$</TEX> genotype and the dam had <TEX>$E^+E^+$</TEX> genotype, and both of them had the whole body-brindle coat color, all of their offspring (4/4) had whole body-brindle coat color. When the sire had <TEX>$E^+E^+$</TEX> genotype and the dam had <TEX>$E^+e$</TEX> genotype, and both had whole body-brindle coat color, 44.44% (4/9) of the offspring had whole body-brindle coat color. The mating between the sires and dams with these two genotypes with whole body-brindle coat color may have the highest whole body-brindle coat color appearance in their offspring. Muzzle grades 3 or 4 were more common than other muzzle grades. This is the first report indicating the segregation of MC1R genotypes and the inheritance of coat color through family lines in KNBC. The mating system proposed from this study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brindle coat color appearance in KNBC.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