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it at work.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it, known as a personal success factor,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which is voluntary behavior for the organization and colleagues. In addition, we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job positive affect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OCB. Results from an online survey undertaken with Korean workers showed that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OCB when conscientiousness was controlled for. Moreover, job positive affec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OCB. On the other h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study limitations,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Highlights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투지 연구 대상은 학 생, 교사, 군인 중심으로 대부분의 연구가 이 들의 투지가 높을 때 얼마나 더 나은 성과를 얻는지 혹은 얼마나 해당 분야에서 오래 남아 있는지를 살펴보았다(예, 이수란, 손영우, 2013; Duckworth et al, 2007; Duckworth & Quinn, 2009; Robertson-Kraft & Duckworth, 2014). 반면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투지 연구는 최근에 야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 대다수가 투지와 직무성과(Duckworth et al, 2007), 이직
셋째, 본 연구는 직장장면의 투지 연구가 많 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투지가 조직시 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개인의 특성, 정서, 인지 및 수행에 초점을 두었다
Summary
본 연구는 직업장면에서 투지(Grit)의 효과를 살펴보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기존에 개 인의 성공 요소로 알려진 투지가 개인의 성과를 예측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조직과 조직 내 타구성원을 위한 자발적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 다. 또한 어떠한 심리적 기제를 통하여 투지와 조직시민행동이 정적 관계를 갖는지를 이해 하기 위하여 정서적 측면의 직무 긍정정서와 인지적 측면의 직무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 보았다.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투지는 조직시민행동과 정적 관계를 보였다. 또한 투지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 긍정정서와 직무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 긍정정서만이 투지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에 직무효능감은 투지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조직시민행동과는 유의한 상관 이 없다고 나와, 정서적 측면과 달리 인지적 요소인 직무효능감은 투지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 과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본 연구 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투지가 조직시민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친사회적 특성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개인의 투지가 나 자신이 아닌 대상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직장장면에서 투지의 친사회적 영향 력’을 살펴보는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투지 가 조직을 이롭게 하기 위해 행하는 자발적인 행동(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 하였다.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More From: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